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해외배송방법
- UA와GA4차이
- 우유마루
- 연세우유솔티카라멜생크림빵
- 고단백간식
- 영어로주소쓰기
- 직장생활
- 광고
- 인스타그램mbti테스트
- 지속가능성
- 일잘러되는법
- 신상편의점빵
- dhl운송장작성
- 단백질아이스크림
- 단백질과자
- dhl운송장번호
- 직장꿀팁
- 유니버셜애널리틱스
- 비즈니스이메일쓰기
- 링크드인브랜드페이지
- 아이스크림신상
- 재생에너지
-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 업무꿀팁
- 다이어트간식추천
- 직장내커뮤니케이션
- 히트란
- DHL이용방법
- 2월편의점신제품
- 운송장작성방법
- Today
- Total
커뮤니케이션하는 콩대리
[페이스북 | Facebook / 메타 | Meta] 팔로우(Follow)와 페이지 좋아요(Page Likes)의 차이 본문
[페이스북 | Facebook / 메타 | Meta] 팔로우(Follow)와 페이지 좋아요(Page Likes)의 차이
콩대리 2022. 11. 9. 09:00
아마 광고대행사나 홍보대행사에서 디지털 관련 업무를 하다보면, 페이스북 광고보고서를 읽거나 직접 작성해야할 순간이 올텐데요. 어느 순간부터인가, 페이스북 관련 데이터를 보면 팔로우(Follow)와 페이지 좋아요(Page Likes)라는 용어가 혼재되어 혼란을 겪고 계신 담당자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페이지 좋아요, 예전부터 있던 지표 아닌가요?
답부터 말씀드리자면, 아닙니다. '페이지 좋아요'는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제공하기 시작한지 얼마 안된 새로운 지표입니다.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페이지 좋아요는 Facebook Business(현재: Meta for Business)에서 참여 캠페인 생성을 위해 제공되었던 목적 옵션 중 하나에 해당하였습니다. 이 광고 옵션을 이용하면 '팔로우'를 유도하는 Call-To-Action(CTA)버튼이 광고에 추가하여 팔로우를 유도할 수 있었죠, 해당 광고 옵션을 제공하는 광고를 '페이지 좋아요' 광고라고 부르곤 하여, 페이지 팔로우와 좋아요 간 개념에 혼동을 빚는 것 같습니다.
페이스북이 이야기하는 '새로운 페이지'가 언제부터 제공되기 시작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앞으로 신설되는 페이지에서는 팔로우를 구분하여 데이터 값을 제공하기 때문에, 담당자들도 데이터를 분석하기 전 두 지표의 정의와 차이점을 명확히 파악해두셔야할 것 같습니다.

팔로우(Follow)란?
이전부터 페이스북에서 제공해온 유저와 페이지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저희가 보통 이야기하는 '팔로워'가 바로 '팔로우'를 선택한 유저입니다. 팔로워 수는 팔로우한 페이지의 업데이트 소식 및 게시물을 본인의 피드에서 보겠다고 선택한 유저수를 가리킵니다.

유저는 '팔로우 설정' 기능을 활용하여 게시물의 표시되는 기간, 위치, 알림 유형 그리고 팔로우 여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팔로워 수 확인하는 법?
새로운 페이지라면 다음 단계를 따라주세요:
- 페이스북 로그인 후 오른쪽 상단의 프로픽 사진 선택
- [프로필 모두 보기]를 선택한 다음, 전환하려는 페이지 선택
- 페이지 피드의 왼쪽 메뉴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페이지 이름 선택
- 커버 사진 아래의 [팔로워] 탭 선택 후, [더보기] 선택
이전(기존) 페이지라면 다음 단계를 따라주세요:
- 피드의 왼쪽 메뉴에서 [페이지] 선택
- 왼쪽 열에서 [설정] 선택
- 왼쪽 열에서 [사람 및 다른 페이지] 선택
페이지 좋아요(Page Like)란?
페이지 좋아요는 페이스북이 유저들이 페이지와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페이지'에 추가한 기능으로, 콘텐츠에 좋아요 반응을 남기듯이, '지지의 뜻'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페이지에 좋아요를 누른 유저는 자동으로 페이지를 '팔로우'하게 되는데요. 좋아요를 누른 페이지더라도, 해당 페이지의 게시물을 보고 싶지 않다면 언제든지 페이지의 팔로우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팔로우를 취소해도 여전히 '좋아요'를 누른 상태는 유지됩니다. 페이지 좋아요를 취소하면 '팔로우'도 함께 취소됩니다.
1) 페이지 좋아요 또는 페이지 좋아요를 취소한 유저 수 확인하는 법
특정 기간 동안 몇명이 페이지를 좋아하거나, 좋아요를 취소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를 따라주세요:
- 피드의 왼쪽 메뉴에서 [페이지] 선택
- 왼쪽 메뉴에서 [인사이트] 선택
- 왼쪽의 [좋아요] 선택
- 확인하고자 하는 기간을 [시작]과 [종료] 날짜를 선택하여 설정
- [총 페이지 좋아요]로 스크롤
위 방법대로 하시면 차트를 통해 일자별 좋아요 및 취소 출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페이스북에서 페이지 좋아요를 취소한 유저의 정보는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리고 유저들은 자신이 좋아요를 표시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대상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페이지 관리자는 페이지를 좋아요한 사람 일부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개적으로 페이지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이름만 볼 수 있는 점 참고해주세요.
2) 어디서 페이지 좋아요를 선택했는지, 페이지를 좋아한 위치 확인하는 법
페이지, 광고, 페이지 추천 등 페이지 좋아요를 유저가 어디서 선택했는지 위치를 안다면, 앞으로 페이지 운영 전략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겠죠? 페이지 좋아요가 발생한 출처와 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를 따라주세요:
- 피드의 왼쪽 메뉴에서 [페이지] 선택
- 왼쪽 메뉴에서 [인사이트] 선택
- 왼쪽의 [좋아요] 선택
- 확인하고자 하는 기간을 [시작]과 [종료] 날짜를 선택하여 설정
- [페이지를 좋아한 위치]로 스크롤
위 방법대로 하시면 차트를 통해 일자별 좋아요 출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실무를 진행하다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페이지 좋아요와 팔로우 관련 FAQ를 준비해보았습니다. 혹시 아래에서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궁금한 점이 있다면 질문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페이지 좋아요 수보다 팔로우 수가 많은 것이 정상인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페이지 좋아요 수보다 팔로우수가 많을수도, 같을 수도, 적을 수도 있습니다. 페이지 좋아요를 누르면 팔로우가 자동으로 설정되는데요. 유저는 본인의 의지에 따라 '게시물을 보겠다'는 옵션인 팔로우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페이지 좋아요 수가 팔로우 수와 같거나 더 커야지 정상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앞서 설명드렸듯이, '페이지 좋아요' 기능이 이후에 도입된 기능이기 때문에 예전부터 누적되어온 팔로우 수보다 페이지 좋아요 수가 적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아래와 같이 현재 삼성전자, SK 등 오래전부터 페이스북 페이지를 운영해온 페이지들의 페이지 좋아요 수와 팔로우 수 현황을 살펴보면, 팔로우 수가 더 높습니다.


팔로우 수가 페이지 좋아요 수보다 적으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페이지에서 발행하는 콘텐츠의 발행 주기와 콘텐츠 내용을 점검해보길 권장드립니다. 유저들이 해당 브랜드는 선호하나, 본인이 관심없는, 또는 유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콘텐츠를 브랜드의 페이지에서 자주 발행한다고 생각되면, 페이지의 게시물을 피드에서 받아보고 싶지 않아 팔로우를 취소했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보통 유저가 관심이 떨어지는 이벤트나 광고성 콘텐츠가 많이 업로드될 경우 '팔로우 취소'의 액션을 주로 취하곤 합니다,
오가닉으로 도달가능한 모수는 어떤 지표를 참고해야하나요?
'팔로우'를 선택한 유저에게만 우리의 페이지의 게시물이 피드에 노출되기 때문에, 오가닉으로 도달가능한 모수는 '팔로우 수'를 참고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팔로우와 페이지 좋아요 중 어느 것이 유튜브 구독과 인스타그램 팔로우와 더 가까운가요?
'구독'하면 되는 유튜브나 '팔로우'하면 되는 인스타그램과 달리, 유저는 페이스북 페이지 '팔로우'와 '페이지 좋아요' 두개 중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지표를 KPI로 잡아야할지 궁금하실텐데요.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팔로우'가 더 가까운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유저들이 자신들의 관심사에 따라 구성하는 피드에 해당 페이지의 노출을 허용한 점에서 레벨이 비슷하다고 판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호도 측면에서도, 페이지와 더욱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기 때문데 운영자 입장에서 더 의미있는 지표라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두 용어가 구분되기 시작한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아, 보고서 등에서 이를 혼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은데요. 광고 설정값과, 어디서 해당 지표의 값을 가져왔는지 등을 더블체크하고, 본인이 관리하고 있는 페이지의 운영 현황을 더욱 정확히 파악한 후 앞으로의 운영 전략을 다시 구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외국계 PR에이전시 다니는 중 > 만능 PR인이 꿈이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업무 노하우] 회사에서 DHL 해외배송하는 방법 #2. 운송장 작성하기 (2) | 2023.02.18 |
---|---|
[일잘러의 업무꿀팁] 마케터라면 필수로 구독해야할 무료 이메일 뉴스레터 3가지 - 뉴닉, 더슬랭, 캐릿 (0) | 2022.11.27 |
[링크드인 | LinkedIn] 쇼케이스 페이지(Showcase Pages) 만들기 | 링크드인 타겟팅 및 운영 전략 | 브랜드 페이지 만들기 (0) | 2022.11.14 |
[링크드인 | LinkedIn] 관련 링크드인 페이지(Affiliated Pages) 설정하기 (0) | 2022.11.12 |
[글로벌 업무 노하우] 회사에서 DHL 해외배송하는 방법 #1. 고객번호 생성하기 (0) | 2022.10.29 |